항목 ID | GC09500070 |
---|---|
한자 | 鍾川平野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종철 |
전구간 | 종천평야 - 충청남도 서천군 |
---|---|
해당 지역 소재지 | 종천평야 -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
성격 | 평야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에 있는 평야.
[명칭 유래]
종천평야(鍾川平野)가 자리한 종천면(鍾川面)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자연환경]
종천평야는 종천천 유역에 남북으로 분포한다. 종천천은 판교면 심동리에서 발원하여 종천면 종천리로 유입하는 하천이며, 중류에 많은 저수지가 있다. 서해 연안은 제주 해류가 해안을 따라서 북상하고, 금강의 퇴적물이 쌓이며, 조차가 5.6m가 되기 때문에 간척지가 많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종천천 유역에는 하해 혼성의 충적토로 된 간석지가 크고 넓게 형성되었는데, 현재는 간척되어 곡창 지대가 되었다. 종천평야가 있는 종천면은 대부분 구릉성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서쪽에 월명산[비인면], 북동쪽에 문수산과 희리산이 있어 동쪽과 서쪽이 구릉지로 둘러싸여 있다.
[현황]
종천평야에는 화산들, 오석리들, 물거내들, 삽다리들, 두내배지들, 신검들 등 크고 작은 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대부분 경작지로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