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산평야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066
한자 韓山平野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한산평야 - 충청남도 서천군
해당 지역 소재지 한산평야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지도보기
성격 평야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있는 평야.

[명칭 유래]

한산평야(韓山平野)가 자리한 한산면(韓山面)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한산은 ‘큰 고을’이라는 의미이며, ‘이 나라의 마을’ 또는 ‘이름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도 해석된다.

[자연환경]

한산평야의 지질은 신생대 제4기의 충적층이며, 대표 암상은 자갈, 모래, 점토, 이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토양통은 크게 춘포통(春浦統), 만경통(萬頃統), 전북통(全北統)이며, 미사질 양토 혹은 미사질 사양토로 구성되어 있다. 배수가 약간 불량하며, 투수성은 약간 느림부터 매우 느린 정도이고, 유거(流去)[지표면을 따라 흐르는 물]는 정체 혹은 느림에서 매우 느림 정도로 나타난다. 따라서 논으로 이용되고, 겨울과 봄에는 보리를 재배한다. 한산평야의 중간을 단상천이 가로질러 흐르며, 북쪽으로 축동저수지가 있고, 축동저수지보다 북서쪽으로 동부저수지가 있어, 농경에 유리한 환경이다.

[현황]

한산평야한산면단상천 유역에 분포하며, 서천군에서 길산평야에 이어 두 번째로 넓은 평야이다. 한산평야에서 난 쌀로 빚은 소곡주와 모시가 지역의 특산물로 지정되어 있다.

[참고문헌]
  • 『2023 서천군지』 (서천군, 2023)
  • 여행스케치(https://www.toursketch.co.kr)
  •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https://data.kigam.re.kr)
  • 흙토람(http://soil.rda.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