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061 |
---|---|
한자 | 介也川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서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종철 |
전구간 | 개야천 - 충청남도 서천군 |
---|---|
해당 지역 소재지 | 개야천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서면 개야리![]() |
성격 | 하천 |
길이 | 7㎞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에서 발원하여 충청남도 보령시 주산면 유곡리와 증산리를 거쳐 서천군 서면 개야리의 웅천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명칭 유래]
개야천(介也川)은 하천이 지나는 개야리(介也里)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개야리는 마을의 지형이 개의 목과 같다고 하여 ‘개목’ 또는 ‘개 야목’, ‘개묵’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자연환경]
개야천은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 남당제에서 발원하여 약 8만㎡의 신구저수지에서 내려오는 하천과 합류하여 흘러가므로 수로에 가까운 형태의 하천이다. 이렇게 흐르는 물은 충청남도 보령시 주산면 유곡리과 증산리를 차례로 지나 서천군 서면 개야리의 웅천천으로 합류한다. 개야천은 서천군의 서면과 보령시의 주산면 사이에서 군의 경계를 이룬다. 개야천은 북쪽의 웅천천과 함께 웅천만에 유입하여 많은 퇴적물을 이동하여 간석지를 형성한다. 발원지인 남당제 근처에 서양골, 성골, 큰골, 무제골 등이 있다.
[현황]
개야천의 유로 연장은 7㎞ 정도이다. 개야천은 수로로 이용되고 있으며, 개야천 유역에서는 논농사가 이루어진다. 개야천 주변으로 남당마을회관, 신구2리마을회관, 수곡마을회관, 증산1리마을회관, 증산2리마을회관 등 마을회관이 많이 자리하고 있다. 『한국하천일람』에서는 확인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