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500031 |
---|---|
한자 | 南山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마서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종철 |
전구간 | 남산 - 충청남도 서천군 |
---|---|
해당 지역 소재지 | 남산 -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남산리|마서면 봉남리![]() |
성격 | 산 |
높이 | 146.9m |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남산리와 마서면 봉남리에 걸쳐 있는 산.
[명칭 유래]
조선 전기 세종 대에 서림군이 지금의 서천군청 자리로 이전한 후, 군청에서 바라볼 때 남쪽에 있는 산이라 하여 남산(南山)이라 부르게 되었다.
[자연환경]
남산은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남산리와 마서면 봉남리에 있으며, 높이는 146.9m이다. 북쪽으로 판교천이 흐르고, 북동쪽에는 서천읍성과 서천군청이 있다.
남산의 서쪽 지층은 중생대 백악기의 불국사층군 화강암이고, 동쪽의 지층은 선캄브리아 시대 편마암류이다. 불국사층군 화강암의 대표 암상은 화강암이고, 편마암류의 대표 암상은 화강 편마암, 주입 편마암 및 안구상 편마암이다. 남산의 주요 토양은 청산통이다. 표토의 토성은 양토이고, 황적색의 토색을 띠며 배수가 매우 양호한 것이 특징이다. 주요 임상은 소나무림과 활엽수림이며, 리기다소나무림이 흩어져 분포한다.
[현황]
남산은 영취산과 운은산이라는 두 개의 큰 봉우리로 이루어졌으며, 동서로 길게 뻗어 있다. 산 정상부에 백제 시대에 만든 서천남산성(舒川南山城)[충청남도 기념물]이 있다. 서천남산성은 남산의 정상부를 성벽이 둘러싼 테뫼식 산성이다. 전체 둘레는 620m 정도이다. 운은산에는 봉수대 자리가 남아 있고, 산 중턱에 고려 시대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봉남리삼층석탑(峰南里三層石塔)[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