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500026
한자
영어공식명칭 Mountai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천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철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주변 지역보다 높은 자연환경.

[개설]

충청남도 서천군은 차령산맥의 최남단 사면에 자리한다. 차령산맥은 강원도에서부터 충청남도 서천군까지 남서 방향으로 뻗은 산지이다.

[서천의 주요 산지]

충청남도 서천군의 산은 문산면 봉림산천방산, 종천면 희리산문수산, 비인면 월명산, 한산면 건지산 등이 있다. 『동람도(東覽圖)』에는 각 고을의 이름과 고을을 보호하는 진산의 이름이 실려 있는데, 천방산은 서천군의 진산, 비인면 월명산은 비인군의 진산, 건지산한산군의 진산으로 기록되어 있다.

봉림산천방산서천군 시초면 초현리, 문산면 수암리신농리, 판교면 등고리에 걸쳐 있는 산이다. 서천군에서 높은 산지는 보령시의 동달산에서 시작하여 장태봉을 거쳐 서천군의 북서쪽으로 이어지는 지형에서 나타난다. 하지만 서천군 내에서 독립적으로 나타나는 산 중에서는 봉림산[344.5m]이 가장 높다.

천방산서천군 판교면, 문산면, 시초면에 걸쳐 있는 산이며, 백제 말 당나라 장군인 소정방(蘇定方)천방사(千房寺)와 관련된 설화가 있는 곳이다. 높이는 북서쪽에 인접하여 있는 봉림산보다 낮다. 천방산에는 동서남 방향으로 봉우리가 7개 있으며, 봉우리 주변에는 천방산을 배후 산지로 하여 문산저수지, 서부저수지 등이 개발되어 있다. 과거에는 천방사, 백운사, 대둔사 등 크고 작은 사찰이 있었지만 현재는 음적사(陰寂寺)만 남아 있다.

희리산서천군 종천면 산천리에 있는 산이며, 산림청 국립희리산해송자연휴양림으로 이용되고 있다. 주변에 서부저수지, 판교천, 문수산, 종천저수지가 있다. 비인군의 옛 고읍지였으며, 산 중턱에 산천리산성이 있다.

문수산희리산의 북서쪽에 인접하여 있으며, 종천저수지의 배후 산지이다. 문수산희리산을 연결하는 능선에는 기반암이 풍화되어 말똥 형태로 남아 있는 토르가 나타난다. 토르는 암석이 풍화 작용에 의하여 기반암과 분리되어 지표에 노출된 암괴 지형을 말한다.

비인면월명산서천군 비인면 성내리에 있는 산이다. 주변에 백골산, 능마산, 태매산 등이 있다. 정상부에 테뫼식 산성인 월명산성이 있고, 주변에 관적곡산성불당곡산성, 성북리산성, 장포리산성, 선도리산성 등이 있다. 과거 기우제를 지내던 산이다.

건지산서천군 한산면에 있으며, 높이가 127m인 구릉성 산지이다. 백제 동성왕이 우두산성을 쌓았다 하여 우두산이라고도 불렀다고 한다. 주변에는 봉서사가 있으며, 북쪽 정상부에는 제사를 지내던 단이 있다. 건지산에는 서천 건지산성[사적]이 자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 『2023 서천군지』 (서천군, 2023)
  • 국토정보플랫폼(https://map.ngii.go.kr)
  • 디지털트윈국토(https://www.vworld.kr)
  • 서천군청(https://www.seocheon.go.kr/kor.do)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